 
					 
					 
					 
					 
					 
					[   성장   ] 은 거기서
 멈출 수도 있습니다!
 
				여아가 만 8세 이전에 유방이 발달하거나,
 남아가 만 9세 이전에 고환의 크기가 커지는 등
사춘기가 시작되는 징조가 보인다면
 치료를 서둘러야 합니다.
성조숙증은 여아에게서 압도적으로 많이 발생하지만,
 남아 환자 또한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 출처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 출처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이차 성징이 여아 만 8세 미만,
 남아 만 9세 미만에 나타나는 경우
또래 아이들보다 일찍 가슴멍울, 초경, 음모, 변성기 등
 사춘기 시기에 나타나는 신체 변화가 시작되는 것을
 말합니다.
성장속도가 빠른 아이들의 대부분 뼈 나이가 자기
 나이보다 앞서가고, 앞서간 기간 만큼 성장판도 빨리
 닫혀 남들보다 성장할 수 있는 기간이 짧아지게 됩니다.
성조숙증은 치료 시기를 놓치면, 최종 키 손실 등
 성장부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성장환경 조성 성조숙증 치료
키 성장 골든타임 성장 저해 요인 제거
조기 분비된 성호르몬은 성장을 촉진시키게 되므로
 키크는 속도가 일시적으로 빨라져 또래 아이들보다
 큰 키가 됩니다.
하지만 성장판이 일찍 닫혀 성장기간이 줄어들기
 때문에 최종 키는 정상적인 사춘기를 가진 아이보다
 오히려 작아지게 됩니다.
특히 여자아이들의 경우 성호르몬의 과다한 분비로 인해
 초경을 초1~초4에 할 수 있으며, 그 영향으로 성장판이
 일찍 닫히면서 최종 키가 작게는 5cm, 크게는
 10cm까지 덜 자라게 될 확률이 높아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성호르몬을 억제하여 사춘기 증상,
 급격한 성장 속도 진행을 늦추며 초경 지연, 조기에
 성장판이 닫히는 것을 방지하는 치료가 필요합니다.
 
						성장판 조기폐쇄
 
						조기 초경
 
						암 발병 위험성 증가
 
						심리적인 스트레스
 
					 
					사춘기가 진행되었다면?
 망설이시면 안됩니다!
[ 성조숙증 여아의 키 성장곡선 예 ]
 출처 : 보건복지부, 대한의학회
				출처 : 보건복지부, 대한의학회
			네트워크 약리학을 이용한 실험 연구
혈청 ALP, E2, LH, FSH 호르몬 수치 감소하였으며,
 GnRH, Netrin-1, UNC5C의 mRNA 발현도 감소
 * 출처 Effects of estrogen inhibition formula herbal mixture
						* 출처 Effects of estrogen inhibition formula herbal mixture진정한 성조숙증과 관련된 연구
성조숙증 한약 복용한 경우
 혈중 FSH, LH, E2와 같은 성호르몬의 농도 감소,
 자궁 및 난소의 크기 감소
 * 출처 Evaluation of the true precocious puberty rats
						* 출처 Evaluation of the true precocious puberty rats말초성 성조숙증 침 치료와 관련된 연구
 * 출처 Acupuncture Improving Early Sexual Development
						* 출처 Acupuncture Improving Early Sexual Development복합약물들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 출처 Herbal Medicine for Idiopathic Central Precocious
						* 출처 Herbal Medicine for Idiopathic Central Precocious만 7세 – 12세 어린이가 12 주간 섭취하였을 때,
 성장호르몬 분비지표 (IGFBP-3) 증가
 
						< 성장단백질 IGFBP-3 증가 >
* 출처 이중맹검 인체적용시험 보고서, 2009간, 혈중, 성장판에서 성장인자 IGF-1을 증가시키고,
 성장판에서 뼈 형성 단백질 BMP-2을 증가
 
						< 간에서 성장인자 IGF-1 발현 증가 >
 
						< 혈중에서 성장인자 IGF-1 농도 증가 >
 
						< 성장판에서 성장인자
 IGF-1과 뼈 형성단백질 BMP-2 발현 증가 >
테트라사이클린 칼슘형광표지법을 통해
 성장속도를 측정한 결과, 성장호르몬과 비슷한
 정도로 성장속도를 유의하게 증가
경골성장판 연골세포 수와 증식부의 두께를
 증가시켰으며, IGF-1, BMP-2 발현을 증가
 
						< 성장단백질 IGFBP-3 증가 >
 
						< 뼈길이 성장속도 증가 >
 
								< 성장판 증식부 두께
 11.2% 증가 >
 
								< 성장판 비대부 두께
 12.4% 증가 >
초경 시작 후 1~2년뒤부터 성장 속도가
 급격히 떨어지기 때문에 이 기간에 아이가
 최대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합니다.
 생활습관, 운동, 전신상태 등 성장의 핵심
 요소를 점검하고 필요한 
 경우 성장치료를
 병행해야 합니다.
성장호르몬이 정상적으로 분비되지 않아 혈액검사시
 일반적인 성장기 아이들에 비해 성장호르몬의
 분비량이 적습니다.
사춘기 이전의 나이인데도 표준키보다 10cm이상 작으며,
 평균 5cm가 아닌 4cm 미만으로 성장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같은 연령과 성별을 가진 100명을 무작위로 세웠을 때
 3번째 이하까지는 왜소증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뼈 나이가 2년 느리다고 안심해선 안됩니다. 1년 후
 재검사시 오히려 뼈 성장이 1년 이상 빨라졌다는
 케이스가 많습니다. 
키는 일반적으로 성장곡선을 따라 출생 후~2세 이전,
 그리고 사춘기에 가장 빨리 자랍니다. 급성장기를
 지나면 더 이상 자리지 않기 때문에 적정한 시기에
 성장판의 상태를 확인하여 치료해야합니다.
성장부진의 원인이 하나가 아니라 여러 개가 동시에
 있다면, 성장치료 역시 복합적으로 진행되어야 합니다.
 
					나이별 성장속도 그래프
| 연령 | 정상 연간 성장 속도 (Cm/Year) | |
|---|---|---|
| 출생기 ~ 1세 | 연간 18 ~ 25cm | |
| 1세 ~ 2세 | 연간 12 ~ 13cm | |
| 2세 ~ 사춘기 이전 | 연간 5 ~ 6cm | |
| 사춘기 급성장 | 남자 | 연간 7 ~ 12cm | 
| 여자 | 연간 6 ~ 11cm | |
성장 단계별 성장 속도의 변화
성조숙증의 진행을 더디게 하고
 키 성장을 극대화합니다.
성조숙증으로 의심될 수 있는 증상들은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 해당 연령의 증상과 진단에 따라
 대처하면 성장 불균형으로 인해 성장이 멈춰버릴 수도
 있다는  걱정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습니다.
사춘기 지연 및 초경기간을
 늦출 경우 1년에 7~8cm의
 추가적인 성장이 가능합니다.
성장판이 닫히는 시기를
 최대한 지연시키고 성장
 호르몬 분비를 늘려 최대
 키 성장을 이끌어 냅니다.
성장에 관한 여러가지
 요소들을 빠짐없이 채워
 성장에 가속도를 더합니다.
여아의 경우 성조숙증으로
 또래보다 가슴이 커져
 부끄럽다고 가슴을 웅크릴
 경우 굽은 등이 되어 성장에
 방해가 됩니다. 
 등을 펴야 키가 더 큽니다.
급성장기에 성장 에너지가 집중되는데 학업까지 하다보면
 면역이 떨어지고 피로를 느끼게 됩니다.
 성장한약을 통해 면역까지 챙깁니다.
 성장약침 치료
						성장약침 치료
						뼈, 근육 강화 및 체력강화
 성장 침치료
						성장 침치료
						성장판 주변 자극,
 혈액순환 조절
 성장 추나요법
						성장 추나요법
						골, 관절, 근육의 바른 성장
 성장 물리치료
						성장 물리치료
						성장판 자극 한방 물리요법
 생활습관 홈케어
						생활습관 홈케어
						올바른 자세, 식습관, 운동법
 성장자극점 도수치료
						성장자극점 도수치료
						관절, 척추, 근육의
 밸런스 치료
 긍정적 마인드
						긍정적 마인드
						스트레스는 성장호르몬
 분비 감소를 초래
 빠른 취침, 기상 실천
						빠른 취침, 기상 실천
						성장호르몬은 밤 10시부터
 새벽 2시까지 최대 분비
 균형 있는 식사
						균형 있는 식사
						5대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하는 것이 가장 좋음
 바른 자세 유지
						바른 자세 유지
						나쁜 자세는 척추나
 골격이 삐뚤어지게 함
 규칙적 운동
						규칙적 운동
						성장호르몬 분비 및
 혈액순환 촉진에 도움
 체중 관리
						체중 관리
						과다한 체지방은 성호르몬
 분비 시기 앞당김
 TV시청/게임 제한
						TV시청/게임 제한
						전자파, 선정적, 폭력적
 장면들의 접촉 줄이기
2차 성징의 지연효과는 성호르몬을
 기준으로 판정합니다.
 
						
							호르몬 변화 확인
 
				
							키 성장 정도 확인
 
				
							소화, 수면, 알레르기 등
 건강 호전도 평가
3개월에 1~2cm 정도로 잘 크고 있다면
 한약을 계속 복용합니다.
처방을 변경하거나 정밀 진단을 통해
 원인을 찾습니다.
 (수면, 식이, 스트레스, 알레르기 등)
해당 한약의 용량을 올립니다.
체중이 지나치게 증가하지 않도록 관리
・ 2009년 5월 30일 ~ 2018년 2월 10일
 22명 (여아, 평균 8.21세)
 결과 : 사춘기가 시작된 이후의 여아들이 36개월
 치료 후에도 초경을 하지 않음
[ 치료 기간에 따른 성 호르몬 수치 평균 ]
| E2 (pg/ml) | LH (mIU/ml) | FSH (mIU/ml) | |
|---|---|---|---|
| 첫 방문 | 14.96 | 0.17 | 2.35 | 
| 6개월 | 10.97 | 0.29 | 2.39 | 
| 12개월 | 14.79 | 0.96 | 2.66 | 
| 18개월 | 20.22 | 1.69 | 3.67 | 
| 24개월 | 28.25 | 2.66 | 4.02 | 
| 30개월 | 36.58 | 3.15 | 4.29 | 
| 36개월 | 43.71 | 4.89 | 4.81 | 
・ 최○○ (여아 / 8세 9개월)
 부(175cm), 모(159cm, 초경 시기- 중학교 2년)
 ・ 가슴발달, Tanner stage Ⅲ 진단
 (사춘기가 6개월 이상 진행됨 )
 ・ GnRH 자극 검사 결과, LH 6.23 mIU/㎖,
 FSH 11.36 mIU/㎖  ▶ 성조숙증 진단
 ・ 결과 : 1년 이상 사춘기 지연효과 (사춘기 발달이
 억제되고 호르몬 변화도 완만하게 유지됨)
[ 호르몬 수치 경과 확인하기 + ]
| 날짜 | E2 (pg/ml) | LH (mIU/ml) | FSH (mIU/ml) | 키 cm | 몸무게 kg | 
|---|---|---|---|---|---|
| 2015.4.11 | <5 | <0.1 | 0.96 | 131.5 | 33.5 | 
| 2015.7.29 | <10 | 0.1 | 0.89 | 133.6 | 34.1 | 
| 2015.12.19 | <10 | 0.03 | 0.7 | 135.9 | 36.4 | 
| 2016.4.30 | <10 | 0.04 | 0.85 | 137.3 | 38.4 | 
| 2016.8.4 | <10 | 0.1 | 1.55 | 139.0 | 40.6 | 
・ 이○○ (여아 / 8세 6개월) / 부(167cm), 모(154cm)
 ・ GnRH 자극검사결과, E2 15.59 pg/㎖,
 LH 0.29mIU/㎖, FSH 1.08 mIU/㎖  ▶ 성조숙증 진단
 결과 : 1년 10개월 이상 사춘기 발달을 늦춤
 (성장이 꾸준히 이루어져 최종 키 손실 극복하고
 유전적 예상키보다 더 큼)
[ 호르몬 수치 경과 확인하기 + ]
| 날짜 | E2 (pg/ml) | LH (mIU/ml) | FSH (mIU/ml) | 키 cm | 몸무게 kg | 
|---|---|---|---|---|---|
| 2012.3.10 | 15.58 | 0.29 | 1.08 | 128.1 | 28.7 | 
| 2012.11.10 | 7.31 | <0.1 | 2.13 | 132.3 | 29.8 | 
| 2013.4.6 | <5 | 1.61 | 1.89 | 135.0 | 32.3 | 
| 2013.7.13 | 13.3 | 1.44 | 3.66 | 138.1 | 32.7 | 
| 2013.10.5 | 7.67 | 1.05 | 1.55 | 140.9 | 36.6 | 
| 2014.2.8 | 16.39 | 2.65 | 4.26 | 144.1 | 38.0 | 
| 2014.6.14 | 28.22 | 3.55 | 5.48 | 146.1 | 41.3 | 
| 2016.1월 | 초경시작 | ||||
| 2016.2.24 | 155.5 | 53.3 | |||
・ 하○○ (여아 / 9세) / 부(174cm), 모(165cm)
 ・ GnRH 자극검사결과, LH 4.3mlU/ml
 ▶ 성조숙증 진단
 ・ 2020년초 가슴발달 시작, 뼈 나이 11세
 (예상 키153cm~155cm)
 결과 : 가슴멍울 생긴 후 3년 6개월 후 초경
 (1년 6개월 미뤄짐) 최종 예상 키 157cm~160cm
[ 호르몬 수치 경과 확인하기 + ]
| 나이 | 검사일 | 키 cm | 몸무게 kg | IGF-1 (ng/ml) | E2 (pg/ml) | LH (mIU/ml) | FSH (mIU/ml) | 
|---|---|---|---|---|---|---|---|
| 만9세 | 2020.5 | 135.5 | 34.8 | <5 | <0.1 | 1.15 | |
| 9세 3개월 | 2020.8 | 136.9 | 35.0 | 336 | <15 | <0.2 | 2.0 | 
| 9세 6개월 | 2020.11 | 138.0 | 36.9 | 295 | <15 | <0.2 | 2.3 | 
| 9세 10개월 | 2021.3 | 139.8 | 37.9 | 287 | <15 | <0.2 | 1.7 | 
| 10세 2개월 | 2021.7 | 141.7 | 37.4 | 404 | <15 | <0.2 | 3.2 | 
| 10세 7개월 | 2021.12 | 144.0 | 40.1 | 315 | <15 | <0.2 | 2.8 | 
| 10세 10개월 | 2022.3 | 146.8 | 43.2 | 497 | <15 | 1.4 | 2.8 | 
| 11세 1개월 | 2022.6 | 148.4 | 43.6 | 555 | <15 | 1.2 | 4.8 | 
| 11세 5개월 | 2022.10 | 151.0 | 48.1 | 577 | 27.9 | 3.2 | 6.2 | 
| 11세 9개월 | 2023.2 | 152.7 | 50.3 | 603 | 34.2 | 8.0 | 5.4 | 
| 만12세 | 2023.5 (생리시작) | 154.5 | 52.8 | 540 | 38.3 | 9.9 | 5.6 | 
・ 김○○ (여아 / 8세 7개월) / 부(169cm), 모(152cm)
 ・ GnRH 자극검사 LH 3.8mlU/ml  ▶  성조숙증 진단
 ・ 내원 전 2년 동안 8.4cm 성장, 예상 키147cm~150cm
 결과 : 초경이 1년 6개월 지연,
 최종 예상 키 159cm~162cm
[ 호르몬 수치 경과 확인하기 + ]
| 나이 | 검사일 | 키 cm | 몸무게 kg | IGF-1 (ng/ml) | E2 (pg/ml) | LH (mIU/ml) | FSH (mIU/ml) | 
|---|---|---|---|---|---|---|---|
| 8세 7개월 | 2019.7 | 127.5 | 23.5 | 178 | <10 | 0.07 | 1.0 | 
| 8세 10개월 | 2019.10 | 129.5 | 25.2 | 204 | <15 | <0.02 | 1.7 | 
| 9세 1개월 | 2020.1 | 131.8 | 26.6 | 174 | <15 | <0.02 | 2.8 | 
| 9세 4개월 | 2020.4 | 133.5 | 27.2 | 203 | <15 | <0.02 | 2.8 | 
| 9세 8개월 | 2020.8 | 135.0 | 28.0 | 242 | <15 | <0.02 | 2.2 | 
| 9세 11개월 | 2020.11 | 137.6 | 30.3 | 231 | 37.8 | 1.2 | 5.7 | 
| 10세 2개월 | 2021.2 | 139.7 | 29.4 | 310 | <15 | 0.5 | 3.0 | 
| 10세 4개월 | 2021.4 | 142.1 | 31.1 | 220 | 477.7 | 2.7 | 9.7 | 
| 10세 8개월 | 2021.8 | 144.8 | 32.3 | 515 | 22.6 | 1.4 | 4.6 | 
| 10세 10개월 | 2021.10 | 146.8 | 32.8 | 288 | 60.9 | 2.0 | 6.6 | 
| 11세 1개월 | 2022.1 | 148.6 | 34.6 | 369 | 80.9 | 2.8 | 6.3 | 
| 11세 8개월 | 2022.8 | 152.7 | 36.8 | 420 | 40.8 | 5.6 | 5.9 | 
| 12세 1월 | 2023.1 | 156.0 | 초경 | ||||
・ 장○○ (여아 / 9세 2개월) / 부(168cm), 모(156cm)
 ・ 내원 1년전부터 가슴멍울, 머리냄새
 ▶ 사춘기 초기단계 진단
 ・ 뼈 나이 2살 빠르다고 진단.  예상 키145cm~147cm
 결과 : 초경이 1년 7개월 지연,
 최종 예상 키 156cm~159cm
[ 호르몬 수치 경과 확인하기 + ]
| 나이 | 검사일 | 키 cm | 몸무게 kg | IGF-1 (ng/ml) | E2 (pg/ml) | LH (mIU/ml) | FSH (mIU/ml) | 
|---|---|---|---|---|---|---|---|
| 9세 2개월 | 2020.9 | 127.8 | 28.1 | 285 | <15 | 0.29 | 1.66 | 
| 9세 5개월 | 2020.12 | 128.7 | 28.8 | 312 | <15 | <0.2 | 2.30 | 
| 9세 10개월 | 2021.5 | 132.1 | 30.5 | 266 | <15 | 0.35 | 2.51 | 
| 10세 1개월 | 2021.8 | 134.3 | 30.3 | 384 | <15 | 0.28 | 2.33 | 
| 10세 5개월 | 2021.12 | 136.5 | 31.0 | 264 | <15 | 0.23 | 1.36 | 
| 10세 9개월 | 2022.4 | 138.2 | 31.9 | 284 | <15 | <0.2 | 2.99 | 
| 11세 1개월 | 2022.8 | 140.8 | 33.8 | 443 | 28.0 | 0.65 | 5.49 | 
| 11세 5개월 | 2022.12 | 143.5 | 38.1 | 492 | 19.7 | 0.89 | 4.65 | 
| 11세 9개월 | 2023.4 | 145.8 | 41.5 | 393 | 17.5 | 1.92 | 4.29 | 
| 12세 2개월 | 2023.9 | 148.1 | 44.5 | 390 | 18.3 | 1.90 | 4.60 | 
| 12세 5개월 | 2023.12 | 149.7 | 42.8 | 402 | 36.4 | 3.87 | 4.86 | 
| 12세 9개월 | 2024.4 | 153.0 | 초경 | ||||
・  박○○ (남아 / 10세 6개월) / 부(175cm), 모(157cm)
 ・ 18년 4월까지 성장호르몬 치료, 성장호르몬 치료 중
 LH FSH 증가, 뼈 나이 증가
 ・ 사춘기 시작으로 예상 키 168cm~170cm
 결과 : 초진시 예상 키 168cm~170cm
 ▶ 최종 키 178cm
[ 호르몬 수치 경과 확인하기 + ]
| 나이 | 검사일 | 키 cm | 몸무게 kg | IGF-1 (ng/ml) | LH (mIU/ml) | FSH (mIU/ml) | Testosterone (ng/ml) | 
|---|---|---|---|---|---|---|---|
| 10세 6개월 | 2018.4 | 200.71 | 0.18 | 2.71 | <0.03 | ||
| 11세 | 2018.10 | 145.6 | 46.0 | 490.91 | 0.31 | 3.96 | <0.03 | 
| 11세 3개월 | 2019.1 | 148.3 | 47.2 | 424.53 | 0.46 | 3.68 | <0.03 | 
| 11세 6개월 | 2019.4 | 150.3 | 48.4 | 464.06 | 0.52 | 3.97 | <0.03 | 
| 11세 7개월 | 2019.7 | 152.3 | 49.9 | 566.54 | 0.88 | 3.64 | <0.03 | 
| 12세 2개월 | 2019.12 | 156.5 | 52.2 | 469.33 | 1.81 | 6.73 | 1.73 | 
| 12세 7개월 | 2020.5 | 161.4 | 56.9 | 505.09 | 2.67 | 6.79 | 2.26 | 
| 12세 10개월 | 2020.8 | 164.0 | 59.0 | ||||
| 13세 3개월 | 2021.1 | 167.0 | 64.4 | ||||
| 13세 7개월 | 2021.5 | 170.0 | 65.0 | 540.83 | 5.29 | 8.84 | 3.38 | 
| 14세 | 2021.10 | 172.4 | 71.2 | ||||
| 15세 5개월 | 2023.3 | 178.0 | 70.0 | 
・  이○○ (남아 / 11세 7개월) / 부(174cm), 모(159cm)
 ・ 2년전 성조숙증 진단 받고 성조숙증
 호르몬치료 받는 중 내원
 ・ 예상 키 170cm 이하
결과 : 초진시 예상 키 170cm ▶ 최종 키 178cm~180cm
[ 호르몬 수치 경과 확인하기 + ]
| 나이 | 검사일 | 키 cm | 몸무게 kg | IGF-1 (ng/ml) | LH (mIU/ml) | FSH (mIU/ml) | Testosterone (ng/ml) | 
|---|---|---|---|---|---|---|---|
| 11세 7개월 | 2022.4 | 156.5 | 45.5 | 294 | 0.18 | 0.7 | 0.3 | 
| 11세 11개월 | 2022.8 | 158.9 | 47.9 | 532 | 7.1 | 7.1 | 3.4 | 
| 12세 2개월 | 2022.11 | 161.6 | 55.5 | 500 | 4.3 | 6.9 | 3.8 | 
| 12세 5개월 | 2023.2 | 164.4 | 56.7 | 466 | 2.4 | 5.6 | 2.7 | 
| 12세 8개월 | 2023.5 | 167.1 | 57.3 | 413 | 2.1 | 2.8 | 2.1 | 
| 12세 11개월 | 2023.8 | 169.4 | 61.0 | 447 | 2.3 | 3.0 | 4.0 | 
| 13세 6개월 | 2024.3 | 172.7 | 65.6 | 382 | 2.8 | 2.1 | 3.4 | 
방치하면 작은 키로 평생 후회할 수 있습니다.
 더 늦기 전에 정확한 진단과
 체계적인 인애한의원 치료 프로그램에 대해
 상담 받아보세요.
다시 생각해도 성조숙증 치료는
 인애한의원입니다!
1가지라도 해당될 경우에는
 성조숙증 검사가 필요합니다!